top of page

갑작스러운 시력저하의 원인, 뇌하수체 종양?

뇌가 보내는 위험 신호

뇌종양은 영화나 드라마에서 극적 긴장감을 주기 위해 등장하는 흔한 소재로 등장하죠. 하지만 다른 질환과 비교해 현실에서는 발생 빈도가 낮아 ‘설마 내게 생길까’ 하는 마음으로 뇌가 보내는 신호를 무시하고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적지 않아요.


뇌하수체 종양은 뇌종양의 10~15%를 차지할 정도로 많이 발생해요. 환자 수도 계속 증가하고 있어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뇌하수체종양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3년 1만 7488명에서 2017년 2만 3572명으로, 5년 새 34%나 증가했어요.


뇌종양은 갑자기 찾아오는 것 같지만 반드시 그전에 이상 신호를 보내고 있어요. 그럼 뇌종양이 보내는 신호를 어떻게 해야 알아차릴 수 있을까요?

조기 진단이 중요한 뇌하수체 종양

뇌하수체는 뇌에서 코와 가까운 쪽에 위치하고 있어요. 뇌하수체는 우리 몸에 필요한 호르몬들의 분비를 관장하는 역할을 해요. 성장호르몬을 조절하고 남성호르몬과 여성호르몬을 만드는 데 관여하는 곳이 바로 뇌하수체에요.


이런 다양한 호르몬들을 관리하는 뇌하수체에 문제가 생기면 우리 몸의 기능에 이상이 나타나요. 성장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는 경우 턱, 손, 발, 입술 등이 커지는 말단비대증, 갑상선 호르몬이 과다 혹은 과소 분비되어 생기는 갑상선기능항진증과 갑상선기능저하증 등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어요.


이러한 이상 현상은 뇌하수체에 생긴 종양 때문에 일어날 수 있기에 뇌하수체 종양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뇌하수체 기능 검사를 받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


뇌하수체 종양의 다양한 증상

성장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경우 말단 비대증이나 거인증이 나타날 수 있어요. 성장기에 있는 환자에서 거인증이 나타나요. 성인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뼈의 말단 부위가 과도하게 성장해 눈두덩이 튀어나오고 광대뼈, 턱뼈가 커지고 혀와 코가 커져요. 외형적인 변화 외에도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등의 합병증을 일으켜 수명을 평균 10여 년 정도 단축한다고 알려져 있어요.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 종양은 비만, 고혈압, 당뇨, 조모증, 복부 비만 등을 일으켜요. 흔히 ‘쿠싱병’으로 알려져 있어요. 처음에는 얼굴이 달덩이처럼 살이 찌고 얼굴색이 붉어지고 피부에 여드름이 많이 나요. 계속 진행되면 복부 비만은 심한데 팔과 다리는 가늘어지는 특징적 모습으로 변해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해요.


호르몬을 분비하지 않는 비기능성 종양도 크기가 큰 경우에는 뇌하수체 근처의 시신경을 압박해 시야가 서서히 좁아져요. 처음에는 증상을 잘 느끼지 못하다가 나중에 알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심하면 실명에 이를 수 있어요. 종양이 커져 시신경을 압박하면 뇌척수액 순환이 막혀 뇌 안에 물이 차는 뇌수두증이 동반되기도 해요.


이런 경우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독할 수도 있어요. 시신경 기능이 한 번 떨어지면 최대한 빨리 수술해 눌린 신경에 대한 압력을 감압해 주는 것이 중요해요. 종양이 커지면 시신경뿐 아니라 내경동맥을 침범해 안구운동장애, 시야장애 및 두통 등을 일으킬 수 있어요.

뇌하수체 종양 검사가 필요한 경우

가천대 길병원에 따르면 심한 무기력감을 호소하고, 스트레스를 이겨내지 못하는 등 관련 증상이 1~3개월 정도 지속하면 뇌하수체 문제를 의심하고 의료기관을 찾아서 호르몬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해요.


감기에 걸린 뒤 한 달 가까이 증상이 이어질 정도로 다른 사람보다 회복되지 않을 때도 호르몬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고 해요.


간단한 혈액‧소변검사로 뇌하수체가 관장하는 호르몬이 제대로 분비되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뇌하수체에 종양이 있으면 종양을 떼어내고 호르몬이 부족하면 보충하는 치료를 해요. 이때 연령과 성별에 맞는 호르몬 수치를 파악하고 적절한 양의 호르몬을 투여하는 게 중요해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