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망률 6위 담관암

생소하지만 치명적인 암

담관암은 아직 생소하지만 매우 치명적인 암 중 하나에요. 2018년 국가암정보센터 통계에 따르면 담낭, 담관암 발병률은 전체 9위에 불과하지만(전체 발생 암 중 2.9%) 사망률은 6위(전체 암 사망자의 6.2%)를 차지해요.


과거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하얀거탑에서도 주인공이 담관암으로 허망하게 사망하는 것으로 설정될 만큼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 급격히 악하되는 암이기도 해요.


오늘은 생소하지만 치명적인 암! 담관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미미한 증상으로 조기발견 어려워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쓸개즙)은 간내 담관을 거쳐 간외 담관에 이르고, 담낭에 저장된 후 다시 담관으로 분비되어 지방의 소화, 흡수를 돕기 위해 십이지장으로 배출돼요.


간의 모세담관에서 시작해 단계적으로 합쳐지고 굵어지면서 담낭과 십이지장으로 연결되는데, 암세포 발생 부위에 따라 간내 담관암과 간외 담관암으로 구분해요.


발생 원인으로는 민물고기를 날로 섭취할 경우 감염되는 간흡충, 담관 낭종이나 염증, 간내 담석증, 간섬유증 등으로 알려져 있으나 명확한 규명된 인과관계는 아직 없어요. 통계적으로 6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어요.


담관암,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담관암의 경우 복부 컴퓨터단층촬영(CT)와 자기공명영상촬영(MRI) 혹은 담도내시경을 통해 진단이 가능하지만 질병 특성상 조기 발견 되는 경우는 드물어요.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고, 질병이 진행되면서 복통이나 체중 감소, 피로감 등이 나타나며 식욕부진, 오심, 구토, 우상복부 또는 심와부에 뚜렷하지 않은 통증이 동반될 수 있으나 가볍게 생각하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아요.


결국 암이 발전해 담관이 폐쇄되고 담즙이 혈관으로 역류하여 피부와 눈 흰자위가 노랗게 되는 폐쇄성 황달이 나타나게 될 때 담관암을 의심하게 돼요.

황달과 복통 증상이 있다면 즉시 진료받아야!

담관암은 수술적 절제를 통한 암종 제거가 생존율을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외과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편이에요. 그러나 최근에는 수술 술기 및 수술 전후 관리의 발전으로 수술 성적이 향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담관암은 예후가 좋지 않은 대표적인 암이지만,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생존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조기진단을 통한 수술이 예후를 좌우하기 때문에 가족력이 있거나 담즙 문제로 생기는 갑작스런 복통과 체중 감소, 황달이 나타난다면 즉시 진료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해요.


오늘 담관암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어요. 평소에 인지하고 주기적으로 검진하는 것으로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어야 해요. 앞서 언급된 것처럼, 갑작스러운 복통이나 체중 감소,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주기적인 진료는 물론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어야 해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