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한 듯 흔하지 않은 여성 질병
여러분, 혹시 자궁선근종이라는 질병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아마 많이 들어보지 못하셨을 거에요. 하지만 이제부터 주목하세요! 매년 특히 자궁선근증 진단을 받는 사람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고, 특정한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예방하기도 힘들거든요.
자궁선근증이란 자궁 안에 있어야 할 자궁 내막 세포들이 자궁의 근육층을 파고 들어가 자궁벽을 두껍게 만들어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질병이에요. 자궁선근증은 보통 40 ~ 50대 출산경험이 있는 여성들에게 주로 나타난다고 해요.
하지만 가끔 출산 경험이 없는 20 ~ 30대 여성들이 걸릴 수 있는데, 모르고 방치해두면 난임과 조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해요. 그럼, 자궁선근증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자궁선근증 VS 자궁내막증
여성의 몸은 주기적으로 호르몬 수치의 변화를 겪게돼요. 그때 발생하는 가장 흔한 호르몬 질환이 바로 자궁선근증과 자궁내막증이에요. 그래서 많은 여성분들이 자궁선근증과 자궁내막증을 헷갈려 하지만 이 두 질환은 분명한 차이가 있어요.
먼저 자궁선근증은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자궁내막으로 인해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질환을 말해요. 자궁선근증은 조직검사를 통해서 확인이되는 경우도 있고, 자궁근종처럼 혹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고 해요. 주요 증상은 아랫배의 극심한 통증, 월경 과다 및 빈혈 등이 있어요. 주로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들에게 흔하게 나타난다고 해요.
자궁내막증은 자궁 안에만 존재해야 하는 자궁내막이 난소나 나팔관 같은 비정상적인 곳에서 자리하고 그곳에서 늘어나는 경우를 말해요. 증상으로 비정상적인 배뇨 및 배변현상, 검은색을 띠는 출혈, 눈에 띄는 출혈이 있는 불규칙한 주기 등이 있어요. 자궁선근증과 자궁 내막증은 자궁내막이 본래와 다른 위치에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그 장소가 다르다는 점이 있어요.
자궁선근증의 치료방법
자궁선근증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어요. 대부분 갑작스럽게 통증으로 호소하며 병원을 방문한 후 발견하는 사례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평소와 다르게 생리의 양이 급격히 많아졌다던지, 생리통이 심하다면 망설이지 말고 근처 산부인과에 가셔서 초음파와 진찰을 받으시고 상담하는 것이 좋아요.
치료방법은 크게 수술치료, 약물치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수술 치료에는 자궁적출수술과 선근종 절제 수술이 있어요. 수술치료에서는 정상 자궁 조직과 병소의 경계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보통 자궁 적출 수술을 한다고 해요. 하지만 자궁의 보존을 원하는 환자들에게는 재수술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이해한 분들에 한해서 선근종 절제 수술을 시행한다고 해요.
약물치료는 뇌하수체의 난소 자극 기능을 없애서 폐경기와 비슷한 상태를 만들어 난소 호르몬의 분비를 막는 방법으로 진행한다고 해요. 하지만 질환 개선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약물치료만으로 큰 효과를 기대하지 않는 게 좋아요.

자궁선근증, 어떻게 예방할까?
치료법보다 중요한 건 예방이에요. 자궁선근증의 확실한 예방법은 없지만 몸에 좋은 음식들을 먹으며 규칙적인 생활을 한다면 우리 몸을 지킬 수 있다고 해요.
먼저, 마그네슘이 풍부하게 함유된 해조류를 추천해요. 마그네슘은 신경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복통, 허리통증, 두통 등의 통증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에요.
다른 추천 음식으로는 녹차가 있어요. 녹차는 자궁선근증은 물론이고 대부분의 암에 좋은 음식으로, 암세포가 전이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요.
그 외에도 몸의 온도를 높여주는 생강, 아연 함유량이 많은 견과류,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등푸른 생선 등이 자궁 건강에 도움을 주는 음식들이라고 해요.
이런 음식들을 골고루 섬취하며 어느 날 갑자기 올 수 있는 자궁선근증을 예방해보는 것은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