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에이즈와 HIV바이러스는 같은 건가요?

사회적 낙인이 두려운 질병

에이즈는 감염은 질병 자체보다 감염인에 대한 혐오와 사회적 낙인이 더 두렵고 무서운 질병이에요.


이러한 사회적 낙인은 에이즈 치료 시기를 지연시키고,에이즈 전파를 확산 시킬 수 있어 사회에서 분별 있게 질병에 대해 바라보는 시각과 접근이 필요해요.


그래서 오늘은 에이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까요?

에이즈란?

흔히 AIDS와 HIV를 동일한 개념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둘은 엄연히 달라요. HIV는 Human Immunodeficiency Virus의 약칭으로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라고 하고 AIDS는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의 약칭으로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이라고 해요.


즉 에이즈를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가 HIV이고 HIV 감염으로 면역이 결핍된 상태를 에이즈라고 해요. HIV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가 모두 AIDS 환자가 되는 것은 아니에요. HIV 감염자 중에서 면역체계가 손상되어 면역 결핍이 일으키는 문제를 겪게 되는 최종 상태가 AIDS에요.


HIV 감염에 걸리게 되면 적게는 20~50% 많게는 70% 정도가 독감과 유사한 발열, 오한, 인후통과 같은 증상을 경험하게 돼요. 이 중 짧게는 2~3년 길게는 10년~20년의 무증상 잠복기를 거쳐 에이즈가 돼요.


에이즈의 원인과 증상

에이즈의 전파 경로는 HIV 감염자와의 성적인 접촉, 주사에 의한 사고, 수혈 등의 혈액 투여의 감염 및 AIDS 임산부의 혈액과 수유 등으로 옮길 수 있어요.


공기나 물에서의 전염성은 없고, HIV 감연자의 침, 땀, 콧물 등으로도 전염되지 않고 성적인 접촉도 1회성의 관계에서는 발생 확률이 낮아요.


급성 HIV 시기인 3~6주 사이에 붉은 반점의 피부 발진이 생길 수 있고, 독감과 비슷한 두통, 인후통, 근육통 등이 생기며 구역질이 나기도 해요. 급성시기를 지나고 나면 무증상 시기의 잠복기간을 거치게 돼요. 체중이 감소되는 경험이나 심한 피로도, 발열이나 설사 등도 경험할 수 있어요.


HIV 급성 증후군을 가진 모든 감염자가 AIDS로 진입하는 잠복기간을 거치는 것은 아니에요.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보통 10년 이내의 잠복기를 거쳐 AIDS가 발현되는데 면역에 도움을 주는 T 세포가 파괴되어 면역이 저하되고 각종 악성종양이나 암, 폐렴 등을 일으킬 수 있어요.

감염이 의심된다면 보건소로

HIV 검사는 보건소에서 무료 익명검사가 가능해요. 검사의 정확성을 위해 감염이 의심되는 날부터 약 4주 경에 검사를 받는 것을 권장해요.


검사 결과가 음성일 경우, 효소면역시험법(EIA)은 최근 노출 일로부터 6주 이후, 그 외 검사법은 12주 이후 재검사를 권고해요.


HIV 감염 진단은 선별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올 경우에 한해서 확인검사를 시행해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