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문제 아토피피부염
밤마다 가려워서 잠들지 못하는 우리 아이, 많이 걱정되실 거예요. 전 세계적으로 아토피피부염 환자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요.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1970년대까지는 6세 이하 어린이의 약 3%가 아토피를 앓고 있다고 보고되었지만, 최근에는 어린이의 20%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고 해요.
아토피 피부염은 주로 유아기,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적,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이에요. 가려워서 긁으면 습진성 피부 병변이 생기고, 더 심하게 가려워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아토피피부염.
성장하면서 호전될 수 있지만, 반대로 호흡기 질환이 발병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해요. 그럼 오늘은 우리 아이를 위해 아토피피부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일상생활이 유발 요인
아토피피부염의 명확한 유발 원인은 아직까지 찾지 못했어요. 대신 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인, 면역학적 이상 및 피부 보호막의 이상 등 발병에 크게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존재해요.
최근 산업화로 인한 매연 등 환경 공해, 실내 온도 상승으로 인한 집먼지 진드기 등의 알레르기 유발 물질의 증가가 대표적이에요.
실내에서 애완동물을 키우면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이 또한 요인이 될 수 있어요. 아토피피부염은 이를 악화시키는 원인을 찾는 검사로 진단할 수 있어요.
치료의 기본은 ‘악화 요인’ 피하기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아토피피부염은 주로 국소 스테로이드 혹은 국소 면역조절제로 치료하고, 중증 아토피피부염의 경우 전신 스테로이드 혹은 전신 면역억제제가 사용된다고 해요. 스테로이드는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과 처방이 필요해요.
가려움증 완화를 위해 항히스타민제가 사용되기도 해요. 최근 새로 개발된 항히스타민제들은 부작용이 적게 나타나기 때문에, 널리 쓰이고 있어요. 그 외에도 광선치료, 감마 리놀산 등이 치료에 이용되기도 해요.
하지만 무엇보다도 아토피피부염 치료의 기본은 ‘악화 요인’을 피하는 것이에요. 따라서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신속하게 진단받아 파악하고, 피해야 해요.

미리 예방해요!
지나친 목욕이나 습도가 낮은 환경은 아토피 피부염을 악화시킬 수 있어요. 따라서 적절한 목욕으로 충분한 수분 공급을 하고,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는 비누나 땀, 노폐물, 먼지 등의 물질은 깨끗이 씻어내야 해요. 목욕 후 피부 보습도 필수예요.
그리고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동물 털, 음식에 의한 알레르기 소견이 있을 시, 카펫, 소파, 꽃, 애완동물 등 원인이 되는 모든 것을 최대한 피해주세요.
마지막으로 심리적인 스트레스도 원인이 될 수 있어요. 우리 아이가 언제 어디에서나 편안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옆에서 도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