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위에서 발견된 용종, 위암으로 될까?

위 용종이 암으로 발전될까요?

위 점막이나 장 점막 표면 위로 솟아오른 작은 혹을 용종 혹은 폴립이라고 해요. 형태적 특징에 따라 일단 용종이라 부르긴 해도, 검사를 해보면 양성 용종이나 선종성 용종일 수도 있고, 조기 암으로 판명될 수도 있어요.


크기가 작고 위험성이 낮은 혹이라면 추적 관찰만 하는 경우가 많아요. 위험도와 크기, 초음파내시경이나 CT의 검사 소견, 조직 검사 결과 등을 고려하여 제거 여부를 판단하게 돼요.


최근 건강검진을 받고 위 내시경 결과 위 용종 판정을 받으신 분들 많이 걱정되시죠. 오늘은 위 용종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과형성성 용종이 85~90%

위의 용종 중에는 과형성성 용종이 85~90%로 가장 많아요. 과형성이란 조직을 이루는 세포의 수가 증가하여 그 조직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말해요.


일반적으로 작은 크기의 과형성성 용종은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제거할 필요가 없어요. 하지만 2cm 이상인 경우나 소량의 출혈이 반복되어 위장관 출혈 또는 빈혈 등의 증상을 보이면 내시경적 절제술을 권해요.


위선종은 위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병변으로 분류해요. 조직 검사에서 현미경으로 조직 형태를 보면 위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을 볼 수 있어요. 진행 가능성이 높을 경우, 내시경적 절제술로 제거하는 경우가 많아요. 이런 것의 일부에는 이미 암세포가 포함되어 있기도 해요.


내시경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점막하 종양

위 내시경에서 많이 발견되는 점막하 종양은 음식물이 닿는 위의 안쪽 표면인 점막의 아래에 기원한 종양으로 암이나 용종과는 별개의 병변이에요.


점막하 종양은 종류가 여러 개인데 대부분 큰 문제가 안 되지만 간혹 간질성 종양(GIST)이나 유암종일 경우에는 크기가 커지면서 암처럼 주위로 전이할 수 있어요. 어떤 종류의 점막하 종양인지 알아내기 위해 초음파 내시경검사를 실시해요.


점막하 종양은 크기가 작고 위험도가 작은 경우에는 추적 관찰만 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러나 유암종일 경우에는 크기에 상관없이, 간절성 종양은 크기가 2~3cm 이상인 경우 수술을 해서 제거하는 것이 좋아요.

위염이 자주 발생한다면

위염이 자주 발생하고 만성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위 선종이 발생되는 원인이 될 수 있어요.


내시경으로 선종을 제거했다고 하더라도 다른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고 또 위 선종이 다시 생겨 암으로 발전할 수 있어요. 따라서 1~2년마다 정기적으로 위 내시경 검사를 해주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돼요.


가족력이 있거나 환자마다 위험도가 다르기 때문에 정기검진 횟수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도 좋아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