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검진결과 확인하기
많은 여성분들이 유방암 조기 발견을 위해서 유발촬영술 또는 유방 초음파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고 있어요.
하지만 검사 후에 검진 결과표를 확인하면 어려운 용어 때문에 난감했던적 있으시죠?
그래서 오늘은 유방암 검진 결과표를 이해하기 위해 몇 가지 용어들을 함께 알아보도록 해요.

1. 치밀유방
치밀유방은 병적인 상태는 아니지만 유방의 실질 조직이 매우 촘촘하다는 것을 의미해요. 치밀유방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유방 촬영 판독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에요.
검사를 진행할 때 치밀유방인 경우, 확대 디지털 사진의 배경(유방 실질 조직)이 하얗게 나타나요. 미세석회화 및 증가음영이 매우 미미하게 생겨있는 경우, 유방 실질 조직에 가려서 잘 보이지 않을 가능성이 생겨요.
따라서, 치밀유방인 경우 유방초음파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여 유방암을 더욱 철저하게 찾아내려는 노력을 해야 해요. 만약, 유방 촬영 검사에서 치밀유방 판정을 받았다면 유방초음파 검사를 추가로 받는 것이 좋아요.
2. 석회화
석회화는 정상조직이 다른 조직으로 변했다는 뜻이에요. 유방촬영술에서 유방 조직 내 칼슘 성분으로 된 석회질이 보인다는 의미예요. 석회화가 생기는 원인으로는 단순 염증, 종양에 의한 구조 변화 등이 있어요.
양성 석회화는 암과 관련된 소견이 아닌 석회화라고 생각하면 돼요. 치밀유방이 아니면서 양성석회화가 있다고 결과가 나왔다면, 현재 병은 없고 과거 염증을 앓았던 흔적쯤으로 추정할 수 있어요.
미세 석회화는 0.5mm 이하의 석회화를 말해요. 대표적인 유방암인 유관 상피내암의 경우 유방촬영에서 미세석회화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요. 만약 미세 석회화가 보였다면 지체 없이 병원을 방문해 유방 초음파, 세침흡인검사, 조직검사를 추가로 받아야 해요.

3. 유방종괴(결절)
유방종괴는 유방에 생긴 모든 덩어리(혹)를 말해요. 유방종괴는 크게 고형인지 낭종(물혹)인지 구분해요. 유방 낭종의 경우, 유방암 발생이 증가하지는 않아요.
하지만 유방에 낭종이 아닌 고형종괴가 발견되면 반드시 조직학적 진단이 필요해요. 고형종괴의 경우 양성으로 확진이 된 경우 추가적인 수술은 필요없고 주기적인 유방검진이 필요해요.
유방 촬영 검사에서 정상이 아닌 구조물 종괴, 증가음영 등은 유방 촬영 검사 결과만으로는 진단을 내릴 수 없어 판정유보 통보를 하게 돼요. 또한, 미세석회화를 동반하지 않는 몇 가지 종류의 유방암이 의심되는 경우에도 이와 같은 판정을 내리게 돼요.
암이 아닌 혹에 의한 것인지, 암에 의한 것인지, 혹은 이외에도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인지 전문의 확인을 받아야 하는 만큼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추가적으로 확진검사를 받아야 해요.
(정보출처 -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