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타는 듯한 속쓰림 역류성 식도염

타는듯한 속쓰림

가만히 있다가도 타는듯한 속 쓰림이 느껴진 적 있었나요?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통증을 참으면서 그냥 넘기진 않으셨나요?


하지만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하고 생활습관을 바꿔야 큰 병을 막을 수 있어요.

오늘은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요.

역류성 식도염이란?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이 식도 쪽으로 역류되어 식도를 자극하여 발생해요. 식도와 위의 경계부에는 괄약근이 있어 위산이나 음식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막아줘요.


하지만 역류성 식도염은 위의 압력이 식도의 하부 괄약근의 힘보다 강하게 될 때 위산이 식도로 역류해서 발생하게 돼요.

과식, 기름진 음식, 복부비만, 카페인, 누운 자세, 흡연, 과음이 역류성 식도염의 주된 원인이에요.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

가슴 불편감이나 뭔가 걸린 듯한 느낌이 들 수 있어요. 신물, 신트림이 올라오거나 명치 끝에 무엇이 얹히거나 매달린 것 같은 느낌, 가슴 부위가 찌릿하거나 타는듯한 증상, 목의 염증, 쉰 목소리, 천식, 만성기침 등으로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요.


증상이 있을 때 위 내시경 검사를 통해 식도 점막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지만 결과가 정상이라고 하여 안심할 수는 없어요. 역류성 식도염 환자의 반수 이상이, 내시경 검사에서 정상소견을 보이기 때문이에요.


역류성 식도질환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일단 약물 치료를 시작하고, 여기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면서 진단을 확정하는 경우가 많아요.


역류성 식도염이 재발해 만성이 되면 궤양, 출혈 등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어요. 또한 식도암이나 위암으로 진행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해요.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한 역류성 식도염

역류성 식도염은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해요.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 억제제 복용으로 치료할 수 있있어요. 그러나 원인이 되는 생활 습관이 개선되지 않으면 다시 재발하게 돼요.


인제대학교 서울 백병원에서 제공하는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를 위해서 필요한 생활습관에 대해 알아볼까요?

"첫째 담배를 끊고 술을 줄여야 해요.

둘째 과식을 피해야 해요.

셋째 복부비만으로 배가 나왔다면 식사량을 평상시의 70% 정도로 줄여요.

넷째 고기류나 버터 등 지방이 많은 음식, 단 음식, 신 음식, 탄산음료, 커피, 초콜릿, 향신료 등은 피해요.

다섯째 식후 1~2시간 이내에 눕지 않아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