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C형 간염 검사

C형 간염은 감염병

대한간학회에 따르면 B형 간염이 점차 줄어들면서 우리나라에도 C형 간염의 비율이 높아질 것이라고 해요.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C형 간염은 바이러스 감염을 일으키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으로 주로 사람 대 사람으로 전염된다고 해요.


C형 간염은 한 번 감염되면 70-80%가 만성 간염으로 진행하고 이 중에서 30-40% 정도가 간경변증, 간암으로 진행해요.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전 국민의 1%가 C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로 추정된다고 해요. 전체 만성 간 질환(간염, 간경변증, 간암) 환자의 약 10~15%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해요.


C형간염은 대부분 증상이 없어요. 그러나 피로감, 근육통, 황당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그래서 감염 사실을 모르고 지내다가 만성 간염이나 간암 등의 검사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요.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C형 간염은 백신이 없기 때문에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감염 여부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고 해요.

C형 간염 항체(HCV-Ab)

C형 간염 항체(HCV-Ab) 검사는 혈액을 통해 진행해요.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주로 C형 간염 바이러스의 NS3, NS4, NS5 재조합 항원에 대한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을 사용해요.


그러나 대한간학회에 따르면 단순한 혈액검사만으로는 간염이나 간경변증, 간암 등 간질환의 심한 정도를 파악하기 어려워 복부 초음파검사 등의 검사가 필요하다고 해요.


C형 간염 항체검사의 의미

대한 진단 검사의학회에 따르면 음성반응은 감염이 없거나 적은 양의 항체가 있는 경우를 의미해요. 하지만 서울 아산병원에 따르면 급성 C형 간염은 C형 간염 항체검사에 음성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해요.


간기능 검사에서 이상 징후가 나타나고 C형 간염 항체가 양성으로 판정되면 만성 C형 간염으로 진단할 수 있어요. 서울 아산병원에 따르면 양성 판정이 있다고 해도 C형 간염바이러스 핵산(RNA) 검사를 추가 시행해서 확진을 받아야 한다고 해요.


검사를 통해 만성 C형 간염이 진단된 경우에는 간 기능과 간암의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검사가 필요하다고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밝혔어요. 3~6개월 간격으로 혈액을 이용한 간기능 검사 및 간세포암 검사를 시행하며, 동시에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간암의 발생 여부를 확인해야 해요.

C형 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서울대학교병원에 따르면 C형 간염은 백신이 없어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해요..성적 접촉 시에는 콘돔을 사용하도록 하며, 면도기나 칫솔, 손톱깎이를 통한 전파가 있을 수 있으므로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아요.


삼성서울병원은 C형 간염은 치료법의 발달로 대부분 바이러스 박멸이 가능한 병이라고 해요. 따라서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병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감염 여부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고 해요.


건강검진을 계획 중이라면 착한의사와 함께 C형 간염 검사를 받는 것은 어떨까요?

bottom of page